" 국악의특수성과 대중음악의 보편성이 이루어낸 조화 ”
김영동은 국악작곡가 중에서도 가장 많이 일반에게 알려진 작곡가이다. 그가 처음 일반에게 선보인 것은 1970년대로 이때 그는 사회성이 짙은 노래들로 대학가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어디로 갈거나], [조각배], [누나의 얼굴] 등 국악에 바탕을 둔 새로운 선율의 가요와 동요를 중심으로 작곡활동을 해온 그는 연극음악 [한네의 승천]을 비롯하여 [어둠의 자식들], [태], [아다다] 등의 영화음악과 TV부수음악 [삼포 가는 길] 등 주로 실용음악에 관심을 두면서 대중과의 음악적 교감을 꾸준히 넓혀 왔다.
일반인들의 국악에 대한 철저한 무관심 속에서도 그의 음악이 대중적인 인기를 얻게 된 것은 그의 음악이 국악에 바탕을 두면서도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음악어법으로 쓰여 졌기 때문이다. 국악을 지루하고 고리타분한 음악으로만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의 음악은 신선한 감동으로 다가왔으며 그 감동은 우리음악에 대한 깊은 관심과 애착심을 사람들이 갖게 되는데 직접적인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대중음악의 보편성과 국악의 특수성을 적절히 조화해낸 그의 음악은 소금이나 대금가락에 묻어있는 짙은 국악적인 정서를 기타나 신디사이저 같은 양악기를 매체로 대중들에게 전달하는데 성공하고 있다.
그의 음악은 전통음악의 정신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늘 새로운 감각으로 가득 차 있다. 현대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전통음악의 언어를 그는 쉽게 풀어서 쓴다. 그래서 전통음악을 잘 알지 못하는 사람도 그의 음악은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의 음악은 한국인의 가장 깊숙한 곳에 잠재해 있는, 한국인 특유의 미적 감각을 새롭게 일깨워 준다. 시원하게 쭉 뻗어가는 선율과 다양한 시김새, 그리고 원초적인 리듬의 구사가 단순하면서도 강한 표현력을 지니고 우리들에게 다가온다. 특히 영화음악에 있어서 그의 음악적 특성은 유감없이 발휘된다. 영화의 한 장면 한 장면이 지극한 한국적인 정서로 가득한 영화 [아다다]에서 그의 음악은 여주인공 아다다의 숙명적인 삶을 효과적으로 표현해 주고 있다. 특히 한국적인 정서와 미의식에 바탕 한 화면들은 그의 음악적 특성과 잘 맞아 떨어진다.
그의 음악이 갖고 있는 이러한 특성은 표제적인 관현악곡 [매굿]과도 연결된다. [매굿]은 황해도 장산곶 지방의 장수매 설화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으로 이 작품에 사용된 회화적인 관현악법은 이후 국악 관현악의 작곡기법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김영동 음악의 또 다른 특성의 하나는 그의 음악이 짙은 사회성과 투철한 역사성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이다. 관현악곡 [단군신화], [신시], [개벽] 등은 이러한 음악의 대표적인 예이다. 그는 관현악곡 [단군신화]와 [신시]에서 우리의 고대 역사에 대한 작곡자의 시각을 뚜렷이 보여주고 있으며 합창과 관현악이 함께 하는 대작 [개벽]에서는 선천시대에서 후천시대로 넘어가는 개벽의 묘사를 통하여 이 사회의 역사적 변천가능성을 우회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최근의 그의 작품은 다소 철학적인 색채를 띄어가고 있다. <귀소>, <침묵, 대답> 등이 그것인데 이들 음악은 인생에 대한 깊은 성찰을 불교적인 색채로 표현해 내고 있다. 그것은 음악의 외적인 아름다움 보다는 그 음악이 갖고 있는 내면의 세계를 더욱 중시하는 작품경향으로 보여 진다.
김영동의 음악은 한국 근대음악사에 있어서 국악이 대중들에게 새로운 시대음악으로 인식되어지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 주고 있다. 또한 1백여 년에 걸친 양악중심의 한국음악사회가 국악중심의 바람직한 음악사회로 나가기 위한 발판을 구축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다.
'국악여행 > 국악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거문고연주가 정대석 (0) | 2007.03.21 |
---|---|
[스크랩] 이시대의 거장, 이생강 (0) | 2007.03.21 |
[스크랩]소리인생 50주년 맞는 국악인 안숙선 (0) | 2007.03.21 |
[스크랩] 데뷔 50주년 맞은 사물놀이의 대부 김덕수 (0) | 2007.01.05 |
여성 상위시대를 꿈꾸는 국악인, 가야금연주가 김일륜 (0) | 2006.10.27 |